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사상차리는법 제사상차림 위치 방향 제사상 추석차례상 차리는 방법 순서 놓는 방향 총정리

by Bigmoney 2022. 9. 6.

제사상-차리는법-제사상차림-위치-방향-제사상-추석차례상-차리는-방법-순서-놓는방향
제사상 차리는법 제사상차림 위치 방향 제사상 추석차례상 차리는 방법 순서 놓는 방향 총정리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차림 제사상 추석 차례상 위치 방향 차리는 방법 순서 놓는 방향을 총정리해보겠습니다. 추석이나 설날 명절이 다가오거나 제사가 다가올 때 제사상 차리는 법이 늘 헷갈립니다. 한번 제대로 정리하고 나면 준비가 훨씬 쉽습니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차리는-법-방법-상차림-추석-차례상-위치-방향-차리는방법-놓는방향
제사상 차리는법 추석 차례상 제사상차림 위치 방향

제사상 차리는 방법은 먼저 방향을 설정합니다. 신위(지방)을 놓는 방향을 북쪽이라 합니다. 제사를 지내는 사람의 위치에서 봤을 때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이라고 봅니다. 제사상 상차림 순서는 먼저 신위에 가까운 쪽부터 시작합니다. 신위 바로 앞부터 1열, 2열, 3열 그리고 제사를 지내는 사람과 가장 가까운 쪽이 5 열입니다. 대부분은 5열로 차례상 또는 제사상 상차림을 준비합니다.

 

 

 

  1. 1열: 식사류 (밥, 국, 국수 등)
  2. 2열: 메인 요리 (전, 구이)
  3. 3열: 서브 요리 (탕 종류)
  4. 4열: 밑반찬 (포, 나물, 김치, 식혜)
  5. 5열: 후식 (과일, 과자 등)

신위와 가장 가까운 곳은 1열로 주로 식사류를 놓습니다. 밥, 국, 국수와 같은 식사류를 가장 먼저 놓습니다. 다음으로는 전이나 구이와 같은 주 요리를 놓고 그다음은 각종 탕 종류를 놓습니다. 4열에는 나물, 포, 김치 등의 밑반찬류를 놓습니다. 가장 마지막으로 5열에는 과일과 과자 등의 후식을 준비합니다.

 

 

 

제사상차림 놓는 방향 

 

 

제사상차림을 할 때 놓는 방향이 다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홍동백서와 같이 종류나 색에 따라서 놓는 위치가 다릅니다. 제사상차림 방향과 위치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서쪽 동쪽
고기 생선
국수
익힌 나물 생김치
생선젓, 식혜
흰색 과일 붉은색과일

 

 

 

먼저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 중앙 가운데 놓습니다. 그리고 산사람과는 반대로 밥은 서쪽이고 국은 동쪽입니다. 이를 반서갱동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적 접거 중이라 하여 구이는 중앙에 놓습니다. 어동육서에 따라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습니다. 그리고 생선을 놓을 때 방향이 있습니다. 머리는 동쪽으로 향하고 꼬리는 서쪽으로 향해야 합니다. 또한 닭이나 생선포의 경우 등이 위로 향하도록 올려둡니다.

 

다음으로 국수는 서쪽, 떡은 동쪽에 놓는 면서병동이 있습니다. 4열 밑반찬을 놓을 때도 위치가 다릅니다. 숙서생동에 따라 익힌 나물은 서쪽이고 생김치는 동쪽입니다. 그리고 서포 동해라고 육포, 어포 등의 포는 서쪽으로 생선젓이나 식혜는 동쪽에 놓습니다. 5열 과일을 놓을 때는 가장 잘 알려진 홍동백서에 맞게 놓습니다. 홍동백서란 붉은 과일은 동쪽이고 백색 즉,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 또한 조율이시에 따라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서로 놓습니다.

 

 

 

반응형

댓글